모의고사 : 2021년 12월 11일 기출문제
풀이문제 : 1과목 ( 1번 ~ 24번 )
1. 스캐너 관련 API로 알맞은 것은 ?
A. SANE = Scanner Access Now Easy, XSANE 또한 스캐너 관련 API 이다.
2. CentOS 7 에서 X 윈도 기반으로 프린터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A. CentOs 프린터 설정은 system-confit-printer 이며
레드햇 계열 초기 LPRng는 printtool 이나 printconf를 사용했지만
최근 레드햇 계열 또한 system-config-printer를 사용
3. 디스크에 에러 발생 시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 위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하는 기술 (RAID)
A. Mirroring / 하나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다른 디스크에 동일한 내용이 백업되어 저장되는 기술
4. /home 디렉터리를 500GB로 구성할 예정이지만, 사용자가 많아질 경우를 대비해서 쉽게 용량 증설이 가능한 환경으로 구축하려고 한다.
A. LVM (Logical Volume Manager) :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
5. 사운드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를 관리하는 것이 목적
A. OSS : Open Sound System
ALSA :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로써 사운드 카드에 가장 큰 관련이 있다.
alsactl 이라는 명령어로 사운드 카드를 컨트롤 한다.
6. 용량이 2GB인 하드디스크 7개를 이용하여 RAID-6으로 구성했을 때 가용 공간
A. 10GB / 기본적으로 스트라이핑 방식이며 RAID-5를 확장한 것이다.
RAID-6 방식은 패리티 정보를 이중으로 기록하게 되기 때문에 가용용량은 HDD의 (N-2)개의 용량을 사용한다.
7. rpm 명령어
A. rpm -i [패키지명] : 패키지 설치
rpm -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8. tar [명령어] linux-5.13.4.tar.xz
A. J >> xz / j >> bz / z >> gz
9. 소스 설치 과정 중에서 configure 작업 후에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
A. configure 작업의 가장 큰 목적은 Makefile을 생성하기 위한 것
10. yum 기반으로 작업한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
A. yum list : 전체 패키지에 대한 정보 출력
yum history : 패키지 설치, 삭제 등 작업 이력 확인
11. tar 파일을 /usr/local/src 디렉토리에 푸는 과정 / tar xvf backup.tar [ 명령어 ] /usr/local/src
A. tar -c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묶는다.
tar -C : 디렉터리 변경
12. make 명령어
A. make clean : 이전에 컴파일 했던 내용들 삭제
make disclean : automake에서 분류되지 않은 나머지 파일 삭제
13. SUSE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
A.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레드햇
yum : Yellowdog update modified - rpm 계열
dkpk : download package - 데비안 계열
SUSE 리눅스는 별도의 zypper을 사용
14. 패키지 관리 도구
A. pacman : 아치 리눅스
15. vi 편집기에서 각 행 앞에 행 번호가 나타나도록 설정
A. set nu = se nu 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set number를 의미한다.
16. vi 편집기 전환키
A. a = 한 칸 뒤로 넘어가고 편집 모드로 전환
i = 커서의 해당 위치에서 편집모드로 전환
o = 다음 줄(enter)로 넘어가고 편집모드로 전환
e = 단어 마지막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이동키)
17. vi 편집기에서 줄의 시작이 linux일 때 Linux로 치환하는 명령어
A. ₩는 줄의 끝부분, ^는 줄의 첫부분
18. vi 편집기로 line.txt 파일의 내용을 불러오면서 커서의 위치를 마지막 줄에 위치시키는 명령어
A. vi +[num] 파일명 : 해당 num 번째 줄로 커서 이동, num이 없는 경우 마지막 줄로 커서 이동
19. GNU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편집기
A. NANO
20. emacs 편집기 개발 인물
A. 리차드 스톨만이 매크로 기능이 있는 텍스트 교정 편집기로 개발
제임스 고슬링이 LSIP 언어를 기반하여 emacs에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여 추가
21. 리눅스 명령어
A. nice : 프로세스 사이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 형식으로 보여주는 명령어
renice : 이미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의를 변경하는 명령어
top : 리눅스 시스템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프로세스 상태 확인
22. 프로세스 생성 방식
A. exec : 시스템 호출 함수로 호출하는 프로세스가 새로운 프로세스로 변경되는 방식
fork : 시스템 호출 함수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들 때 기본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방식
23. 프로세스 출력 명령어
A. ps :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줌
pstree : 프로세스들을 트리 구조로 나타냄
24. crontab 명령어
A. -l : 예약된 작업 리스트
-e : 예약된 작업 수정
- r : 예약된 작업 삭제
-u : 루트 관리자는 해당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보거나 삭제, 편집 가능
'[OLD] 기존 글 저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27번 JAVA 풀이 - 소트인사이드 (0) | 2022.05.28 |
---|---|
백준 1343번 JAVA 풀이 - 폴리오미노 (0) | 2022.05.28 |
백준 1159번 JAVA 풀이 - 농구 경기 (0) | 2022.05.21 |
[프로젝트 준비] 3.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0) | 2022.05.21 |
[프로젝트 준비] 2. Oracle 11g Express Edition 설치 (0) | 202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