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기

백준 1598번 파이썬 풀이 : 꼬리를 무는 숫자 나열 본문

알고리즘 문제풀이/백준

백준 1598번 파이썬 풀이 : 꼬리를 무는 숫자 나열

한민기 2021. 8. 5. 15:08
반응형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598

 

1598번: 꼬리를 무는 숫자 나열

첫째 줄에 원숭이가 생각한 두 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각 숫자는 10,000,000 이하이다.

www.acmicpc.net

문제

동물원에서 막 탈출한 원숭이 한 마리가 세상구경을 하고 있다. 그 녀석은 원주 부근을 돌아다니다가 코레스코 콘도에서 아주 재밌는 놀이를 발견했다. 그 놀이의 이름은 바로 “꼬리를 무는 숫자 나열”. 이제부터 원숭이가 그토록 좋아하던 그 놀이를 파헤쳐보자.

놀이의 방법은 간단하다. 일단 4줄짜리 표에 왼쪽부터 숫자를 아래로 1부터 순서대로 적어나간다. 다음에 그 예가 잘 나타나있다.

이제 원숭이는 두 개의 자연수를 아무거나 생각한다. 그리고 숫자판에서 두 개의 자연수 사이의 직각거리를 구하면 된다. 여기서 직각거리는 동서방향거리와 남북방향거리의 합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저 숫자판에서 11과 33을 생각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11과 33사이의 직각거리는 8이 된다.(동서방향거리 : 6, 남북방향거리 : 2) 다음 그림에 잘 나타나있다.

하지만 원숭이는 지금 혼란스럽다. 동물원에서 탈출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계산을 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 여러분이 불쌍한 원숭이를 좀 도와줘야겠다. 원숭이가 생각한 두 자연수 사이의 직각거리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원숭이가 생각한 두 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각 숫자는 10,00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원숭이가 생각한 두 개의 자연수 사이의 직각거리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 단순 계산 문제다.

# 예제를 예로 들면 11은 4로 나누면 몫 2와 나머지 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33은 몫 8과 나머지 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출력값은 절댓값 몫 - 몫 + 나머지 - 나머지 이다.

 

* 요점

12와 같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들은 몫 이 3이지만 몫 2와 나머지 4로 변환해주어야 정확한 직각거리가 계산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X, Y = map(int, input().split())
if X % 4 == 0:
    X_x = X // 4 - 1
    X_y = 4
else:
    X_x = X // 4
    X_y = X % 4
 
if Y % 4 == 0:
    Y_x = Y // 4 - 1
    Y_y = 4
else:
    Y_x = Y // 4
    Y_y = Y % 4
 
print(abs(X_x - Y_x) + abs(X_y - Y_y))
cs

요점과 같이 4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입력되었을 시 몫 - 1, 나머지는 4로 고정해 준 후 계산해준다.

 

전체 코드 링크 : https://github.com/Hmgi/Prepare-CodingTest/blob/master/Baekjoon/1598.py

 

반응형
Comments